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파란그림자

파이코인 용어 정리 본문

재 테크/pi cone

파이코인 용어 정리

플린더스 2023. 1. 17. 00:26
728x90

 

 

 

1.파이오니어(pioneer)

개척자라는 뜻으로 파이네트워크에서는

파이를 채굴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즉, 3800만명의 가입자 모두 파이오니어 이다.


2. 지갑생성(별도저장) 

가상화폐에서는 위와같이 56자리 숫자와 알파벳으로 이루어져있는 코드로 임의로 생성되며 해당 코드로 코인을 송금 또는 입금을 받을 수 있다. = 계좌번호

핸디폰을 분실하거나 새로 구입해서 다시 깔아야할 때 필요하고 나중에 파이코인으로 지불할 때도 필요한 가장 중요하다. 메인넷 후 채굴한 파이를 담을 수 있는 전자지갑을 뜻 한다.  메인화면 최상단의 파이는 단순한 디지털 문자일뿐이며 이 걸 지갑으로 옮겨야 진짜 파이로 됩니다. 이 지갑(주소)을 통해 개인간의 거래가 가능하다. 지갑은 메인넷 이후 생성가능하며 현재는 테스트지갑만 있다.


​3.기여자(Contributor)

     기여자=자신.단, 파이오니어와 다른의미가 있다.내가 파이네트워크의 보안을 담당하는 사람임을 뜻 한다.


 

4. 락업설정

일정기간동안 안파는 대신 코인을 주는 것 이다. 은행으로 따지면 적금과 같다.

나는 KYC인증을 받아서 코인을 사용할 수 있지만 채굴량을 높이기 위함이고 기간 및 비율에 따라 보상율이 달라진다.

락업의 효과는 메인넷 전환 후 거래시 대량 매도되어 파이의 가치가 폭락하는것을 방지하고 역으로는 유통물량의 감소로 가치 상승을 꾀할 수 있다.


 

5. KYC인증

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최종승인 절차이고 온라인으로 은행계좌를 개설할 때도 사용하며 법적 규정을 준수하는 파이오니어의 신원검증과정이라 할수 있다.


6.보안서클(일명:방패) 

내가 기여자가 되기위해서는 1~5명의 보안팀이 필요하다.그래서 내가 실제로 파이를 채굴하고있는 사람을 보증해주어 블록체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채굴봇, 다중계정, 해킹 등으로 보호)


 

7.채굴(Mining)

채굴이란 말은 비트코인에서 복잡한 연산을풀어 블록을 캐어내는 것에서 유래 광산업에 빗대어 채굴(mining)이라고 하며 비트코인을 만드는 사람을 광부(miner)라고 부른다. 단, 비트코인을 채굴하는데는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다. 엄청난 양의 전력도 필요하고, 이를 다루는 데는 특수한 하드웨어 칩이 필요하다. 유통량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한 번에 채굴할 수 있는 양이 줄고 채굴 비용은 더욱 상승한다.


 

 

 

8.추천인,홍보대사(Ambassador)

가입을 할때 필수적으로 입력해야되는 사람으로 이앱을 소개해준 사람의 추천인이름이다. 파이네트워크의 이름엔 총 3개지가 있다.

실명(여권이름과 동일) 별명(기여자로써의 이름) 추천인코드(다른사람이 나를통해 가입할 때 필요)


 

9.어닝팀(Earning Team)

간혹 방패와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어닝팀은 나를 추천인으로 적고 가입한 사람들의 구성을 어닝팀이라고 한다.내 닉네임이 "ntcom2002" 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가입 하신분들은 ntcom2002어닝팀 이라고 불린다.



10.노드(Node)

개개인의 PC를 파이를 거래하기위한 서버(?)로 만들 수 있다. 이 개개인의 PC를 노드라고 한다. 추천인 모집과 같이 노드 역시 참여 여부는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금은 보상이 없으나 추후 노드에 대한 보상이 진행된다.

그림에서 보듯이 점 하나 하나가 개인의 PC라고 한다면 이 점들이 노드이다. 그리고 점 들을 이어주는 선들까지 합쳐지면 블록체인이 되는것이다. 아울러 전체는 블록체인 생태계라 한다.점 하나(은행)에 개인들이 연결되어있는게 아닌 개인끼리 서로 연결되어 생태계를 이루어 중앙집권화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탈중앙화 시스템이다.

--- Node의 역할 ---

노드를 설정한 개개인PC 하나하나 모두가 거래기록을 분산저장한다. 누구나 거래내역을 연결된 체인을 통한  열람이 가능하고 해킹으로 인해 내역이 조작되었을 때 다른 노드에 의한 정보를 바탕으로 거래내역이 거짓인지 증명된다. 즉, 단일 서버의 단점을 보안한게 노드이다.


11.메인넷(Mainnet)

수많은 노드가 체인처럼 연결되어 파이를 거래하고 사용되는 생태계를 뜻 한다. 파이네트워크에서 상장보다 중요한것이 바로 이 메인넷 구축이다.

테스트 과정, 즉 테스트 넷을 통과한 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 블록체인 개발자가 프로젝트의 심각성에 대해 투자자에게 보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투자자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메인넷 네트워크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투자자는 자금 조달 방법이나 ICO를 수행하기 전에 여러 가지 사항을 확인해야 하는데 그 중 하나는 메인넷 네트워크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메인넷 작동 방식


12.비밀구절

지갑을 사용할 때 필요한 비밀번호이며 18단어의 순서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지갑생성 시 반드시 복사하여 안전한 곳에 저장해 놓아야 하며 분실시 탈 중앙화된 화폐이니만큼 파이측에서는 찾을수가 없다.


13.반감기

파이의 총 수량을 제한하기 위해 일정기간 또는 일정 인원이 달성될 때마다 시간당 채굴할 수 있는 수량이 줄어드는 시기로 파이네트워크 측에서는 총 발행량을 정해 놓았다. 암호화 화폐의 기축통화로 자리메김 하기위해선 적절한 물량조절은 필수이다. 화폐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활발히 거래되어지려면 무한정 발행할수가 없는 것이다. 예상보다 많은 가입자수 증가로 공급량을 조절하는 시기를 조금씩 앞당겨 원하는 물량으로 맞추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반감기 시기를 조절하면서 10억명일 때의 총 발행량을 조절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LIST

'재 테크 > pi c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 네트워크 앱 설치 방법  (0) 2023.01.19
Pi 네트워크 계정 안전에 관한 안내  (0) 2023.01.19
파이코인 1개월 채굴기  (0) 2023.01.16
파이 코인은 안전한가?  (5) 2023.01.14
Pi코인! 어떻게 작동할까?  (0) 2023.01.1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