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반응형
LIST
이슈탐구 (10)
파란그림자

직장생활을 하면서 일 밖에 모르고 살아온 김 부장. 3개월 전 퇴직한 이후 아내와 자녀에게 서운함이 크다. ‘가족 행복’이라는 목표 아래 최선을 다해 살아왔는데 아내는 알아주기는커녕 매끼 밥상을 차려야 한다며 귀찮아 한다. “친구들 만나 저녁까지 먹고 오세요”라며 노골적으로 외출을 강요하기도 한다. ............‘도대체 나한테 왜 이래?’ 김 부장 아내의 입장은 다르다. 일 에만 몰두하는 남편을 대신해 아이 둘을 혼자 키웠단다. 주말에도 “일이 있다”며 출근하는 남편이 야속했지만 잔소리하기 싫어 아이들 데리고 놀이공원 등을 다녔단다. 아이들이 성장해 직장에 다닌 이후로 아내는 친구들과 해외여행도 다니며 즐겁게 중년을 보내고 있다. 남편 없이 보내는 시간이 익숙한 그녀. 남편이 정년퇴직한 뒤로 2..

AI가 발달해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싱귤래리티(singularity·특이점)에 도달하면 인류 사회는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인가? AI가 인간 두뇌의 모든 기능을 복제한 상태가 되면, 그 능력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수준까지 확대돼 이 세계에서 인류가 살아갈 근본적인 방식마저도 바꿔 놓을 것이다. 일찍이 산업혁명이 일어난 인간 사회의 변화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걷잡을 수 없는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한다. AI는 이미 인간의 삶 모든 영역에 밀접한 현실이 됐다. AI 시대에 인류의 삶이 어떻게 바뀔지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 희망과 불안 등 전망이 교차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AI에 의해 사람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AI가 '신'이 될 수도 있고 '악마'가 될 수도 있으며..